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송을 제기한 행위가 업무방해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고소하는 경우

나홀로소송 신청 및 과정/형사소송

by 미카허니 2024. 10. 28. 20:32

본문

LIST

소송을 제기한 행위가 업무방해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고소하는 경우,

수사기관은 해당 소송의 내용 및 경과를 면밀히 조사하게 됩니다.

소송을 이유로 한 업무방해죄 고소 사건에서는,

단순히 소송을 제기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업무방해죄가 성립되지 않으며,

소송 제기가 권리 남용에 해당하여 부당한 목적으로 타인의 업무를 방해했는지가 쟁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조사됩니다.

1. 소송의 목적 및 남용 여부

  • 고소인이 제기한 소송이 정당한 권리 행사인지 아니면 부당한 목적으로 업무를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조사됩니다. 예를 들어, 실질적인 분쟁 해결을 위한 소송인지, 상대방의 업무를 방해하려는 목적으로 남용된 소송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 업무방해죄가 성립하려면 소송이 부당하게 상대방의 업무에 지장을 주려는 악의적인 목적으로 제기되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2. 소송의 내용과 사실관계

  • 수사기관은 소송의 청구 내용과 그 근거가 되는 사실관계를 분석하여, 고소인이 주장하는 소송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이유에 기초했는지 확인합니다.
  • 소송의 청구 내용이 실제로 근거 없이 허위 사실을 포함하거나 상대방의 업무를 직접적으로 방해하려는 내용이라면, 업무방해죄 성립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소송 제기로 인한 업무 방해의 정도

  • 해당 소송 제기가 상대방의 업무에 얼마나 실질적인 지장을 초래했는지도 중요한 판단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상거래 관계에서 악의적 소송으로 인해 상대방의 신용에 손상을 입히거나 업무 수행에 지장을 준 경우라면 업무방해의 범주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판례 기준 검토

  • 대한민국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권리 행사로서의 소송 제기는 원칙적으로 정당한 권리 행사로 인정되며, 쉽게 업무방해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송이 상대방을 괴롭히거나 위협하려는 악의적이고 권리 남용적인 목적으로 제기된 경우에는 업무방해죄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대법원은 “소송이 부당한 목적으로 반복적으로 제기되어 상대방의 업무를 현저히 방해하는 경우 권리 남용에 해당하여 업무방해죄가 성립할 수 있다”고 판시한 바 있습니다.

결론

따라서 소송을 이유로 업무방해죄로 고소된 경우, 수사기관은 소송의 내용과 제기 목적이 정당했는지, 실제로 업무를 방해할 의도나 효과가 있었는지를 조사하게 됩니다.

진술조서에서 판결문의 내용과 다른 진술을 하거나 허위 내용을 포함할 경우,

관련 법률에 따라 다양한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의적으로 허위 진술을 하여 사건에 영향을 주려는 경우,

이는 허위 진술에 따른 법적 책임이 발생하며 형사처벌이 가능한 사안이 됩니다.

 

아래에는 이러한 허위 진술로 인해 적용될 수 있는 주요 범죄와 사례를 설명합니다.

1. 위증죄 (형법 제152조)

  • 설명: 법원에서 증인이 허위로 진술하면 성립합니다. 민사, 형사 재판 모두 해당됩니다.
  • 사례: A씨가 법정에서 "B씨가 범행 현장에 있었다"고 거짓으로 진술한 경우.

2. 무고죄 (형법 제156조)

  • 설명: 다른 사람에게 형사 처벌을 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 사실을 신고하면 성립합니다.
  • 사례: C씨가 존재하지 않는 사실로 B씨를 사기죄로 고소하면서 허위 진술을 한 경우.

3. 사문서위조죄 (형법 제231조)

  • 설명: 허위 내용의 진술서를 작성하여 이를 문서로 행사할 경우 성립할 수 있습니다.
  • 사례: D씨가 허위로 작성한 진술서를 사용해 증거로 제출한 경우.

4. 공무집행방해죄 (형법 제136조)

  • 설명: 수사기관의 공무집행을 방해할 목적으로 허위 진술을 하면 성립될 수 있습니다.
  • 사례: E씨가 경찰에서 거짓으로 진술하여 수사가 엉뚱한 방향으로 진행된 경우.

5. 증거위조죄 (형법 제155조 제1항)

  • 설명: 형사 사건에서 허위 진술을 통해 증거를 조작하거나 위조하면 성립됩니다.
  • 사례: F씨가 다른 사람이 한 일을 자신이 한 것처럼 허위로 진술하여 범죄의 증거를 왜곡한 경우.

6. 증거은닉죄 (형법 제155조 제2항)

  • 설명: 사건의 실체를 은닉할 목적으로 허위 진술을 통해 증거를 숨기거나 왜곡하면 성립될 수 있습니다.
  • 사례: G씨가 다른 사람의 범행을 감추기 위해 본인이 범행했다고 허위 진술한 경우.

7. 업무방해죄 (형법 제314조)

  • 설명: 허위 진술을 통해 고소한 사람이 상대방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의도가 있었다면 성립 가능합니다.
  • 사례: H씨가 사업 경쟁자인 I씨를 형사사건에 엮기 위해 허위 진술을 통해 I씨의 업무를 방해한 경우.

8. 명예훼손죄 (형법 제307조)

  • 설명: 허위의 사실을 진술하여 상대방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성립됩니다.
  • 사례: J씨가 허위 진술을 통해 "K씨가 횡령을 했다"는 식의 허위 사실을 주장한 경우.

9. 모해위증죄 (형법 제152조 제2항)

  • 설명: 다른 사람에게 불이익을 줄 목적으로 허위 진술을 법정에서 한 경우 성립합니다.
  • 사례: L씨가 M씨에게 불리한 처분을 유도하기 위해 법정에서 M씨가 하지 않은 말을 했다고 거짓으로 증언한 경우.

10. 범인도피죄 (형법 제151조)

  • 설명: 진술조서에서 허위 진술을 하여 범인을 숨기거나 도피시키면 성립될 수 있습니다.
  • 사례: N씨가 친구 O씨의 범죄를 숨기기 위해 자신이 범인이라고 허위 진술한 경우.

이처럼 허위 진술은 형사 절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여러 법적 책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진술조서 작성 시에는 항상 사실에 기반한 진술을 해야 하며, 허위 진술로 인해 상대방이나 법적 절차에 피해를 주게 되면 본인에게도 법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잦은 소송"이란 특정 개인이나 단체가 반복적으로 소송을 제기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소송이 사회적으로 문제시될 때는, 주로 악의적이거나 정당한 목적 없이 제기되는 경우입니다. 단순히 소송 횟수가 많다고 해서 불법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권리남용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불법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법적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법률적으로는 "남소(濫訴)"라고도 표현합니다.

1. 법적 의미와 판단 기준

  • 정당한 목적과 남용 여부: 한국 법원은 소송의 반복이 정당한 권리 행사인지 아니면 남용인지 판단합니다. 권리 남용으로 인정될 경우, 이는 법적 제재의 대상이 됩니다.
  • 민법 제2조는 "권리는 신의에 좇아 행사하여야 하고 권리의 남용은 허용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권리남용으로 인한 소송은 신의성실 원칙에 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관련 판례: 대법원 판례(예: 96도3339 판결)에서는 잦은 소송이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비용을 초래하고, 상대방에게 심각한 불이익을 초래할 때 이를 남용으로 판단하여 제한할 수 있다고 명시합니다.

2. 잦은 소송의 사회적 문제와 법적 제재 가능성

  • 업무방해: 잦은 소송으로 인해 상대방의 업무가 반복적으로 방해된다면, 업무방해죄가 성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명예훼손 및 무고: 잦은 소송이 고의적 허위사실에 근거하거나 상대방에게 불이익을 주려는 의도가 있을 경우 무고죄명예훼손죄 등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소송비용 부담 및 배상: 법원은 잦은 소송이 부당하다고 판단하면, 소송비용 전액을 잦은 소송을 제기한 당사자에게 부담시키고, 경우에 따라 상대방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지울 수 있습니다.

3. 남소 방지 대책과 제한 규정

  • 소송 제한 명령: 법원은 반복적이고 악의적인 소송이 문제될 경우, 특정인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소송을 제기할 수 없도록 소송 제한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 벌금 및 배상 판결: 악의적이고 남용적인 소송을 통해 상대방에게 피해를 입힌 것이 확인되면, 법원은 잦은 소송을 제기한 사람에게 벌금을 부과하거나 손해배상을 명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잦은 소송"은 그 자체로는 불법이 아니지만, 소송이 악의적이고 부당한 목적으로 제기되어 권리 남용으로 인정되면 법적 제재가 따를 수 있습니다.

 

한국 법원에서 "잦은 소송"의 기준은 정량적 횟수로 명확히 규정되지 않았으나, 판례와 법리를 통해 몇 가지 판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잦은 소송이 법적으로 문제되는 경우는, 소송이 반복적일 뿐 아니라, 악의적이거나 부당한 목적을 가지고 권리를 남용한 것으로 인정될 때입니다. 다음은 잦은 소송이 법적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판단 기준입니다.

1. 소송의 목적과 의도

  • 법원은 반복적인 소송의 목적이 정당한지, 아니면 상대방을 괴롭히거나 불이익을 주려는 악의적인 의도가 있는지를 중시합니다.
  • 소송이 단순히 자신의 권리를 지키려는 목적이 아니라 상대방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정신적, 금전적 부담을 주려는 목적으로 제기된 경우 남소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예: 민사 소송을 통한 지속적인 청구 취하 및 재소를 반복하여 상대방의 법률 비용과 시간 낭비를 유도하는 경우.

2. 소송의 반복성

  • 소송을 반복해서 제기하는 정도 역시 중요한 기준입니다. 특정 사건이나 사실관계에 대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용의 소송을 반복적으로 제기하는 경우 남소로 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예: A라는 사안을 두고 10여 차례 이상 반복적으로 다른 법적 사유나 실질적인 새로운 내용 없이 소송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는 경우.

3. 판결 결과에 대한 불복 및 항소의 반복

  • 잦은 소송이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기 위한 항소, 상고 등으로 이어질 경우 악의적 소송 남용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법원은 항소와 상고가 정당한 이유 없이 반복되거나 기존 판결과 유사한 취지의 청구를 다시 제기할 때 권리 남용을 문제 삼을 수 있습니다.
  • 예: 1심에서 패소한 후 계속해서 항소 및 재항소를 하며 동일 사안을 끊임없이 다투는 경우.

4. 사회적 비용 및 법적 자원의 낭비 여부

  • 잦은 소송이 단순히 당사자 간의 분쟁 해결을 넘어서서 사법 시스템에 과도한 부담을 주거나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경우 남소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법원은 사회적 비용을 낭비하는 남소를 제한하고, 필요 시 소송 남발을 막기 위한 제재를 가할 수 있습니다.

5. 대법원 판례 기준

  • 대법원은 정당한 권리 행사를 넘어서는 소송 남용의 기준을 마련해 왔습니다. 특히 96도3339 판결에서는 소송이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비용을 초래하거나, 상대방에게 심각한 불이익을 끼치는 경우 권리 남용으로 간주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습니다.

6. 일정한 기간 내 반복된 소송 횟수

  • 법원은 일정한 기간 내 특정 상대방을 대상으로 반복적, 주기적으로 소송을 제기했는지 여부도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 상대방을 상대로 연이어 비슷한 소송을 수십 차례 제기하는 경우 남소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시: 남소로 판단된 사례

  • 사례: 한 사업자가 경쟁 업체를 방해할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손해배상 청구와 업무방해 혐의로 형사 고소를 남발하여 상대방의 사업 운영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 경우, 법원은 이러한 행위를 남용적인 소송으로 판단하고, 업무방해죄나 무고죄 성립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잦은 소송은 단순히 소송의 횟수가 많다는 이유로 남소로 판단되기보다는 그 목적, 반복성, 사회적 비용, 당사자에게 미치는 피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남용 여부가 판단됩니다.

"방해"는 주로 업무방해죄(형법 제314조)나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와 관련하여 다루어집니다.

방해의 성립 요건은 행위가 타인의 권리 행사나 업무 수행에 실질적인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요건이 필요합니다.

1. 행위의 유형 (위력, 허위사실 유포, 기타 부정행위)

  • 위력: 위력이란 사람의 자유로운 의사 결정을 제한하거나 억압할 수 있는 정신적, 물리적 강제력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폭행, 협박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상대방의 업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압적인 행동도 포함됩니다.
  • 허위 사실 유포: 타인에 대해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상대방의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행위도 방해 행위로 간주됩니다.
  • 기타 부정한 방법: 위력이나 허위 사실 외에도 기타 부정한 수단을 사용하여 타인의 업무 수행을 방해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거짓 정보를 제공하거나 거짓 서류를 작성하여 타인의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등이 포함됩니다.

2. 업무의 존재 및 정당성

  • 방해의 대상이 되는 업무는 타인이 법적으로 보호받을 가치가 있는 정당한 업무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불법적인 활동이나 업무는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
  • 업무방해죄가 성립하려면 대상이 되는 업무가 지속성 및 반복성을 가진 경제적 활동이어야 하며, 단순히 일시적인 행위나 사적 활동은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3. 업무에 대한 실질적 지장

  • 방해 행위로 인해 타인의 업무 수행에 실질적인 지장이 발생해야 합니다. 단순한 불편을 초래하는 수준이 아니라 업무의 정상적인 수행이 방해되거나 업무 성과에 직접적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 예를 들어,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고객이 급감하거나 회사의 평판이 크게 실추되어 업무에 악영향을 미친 경우 업무방해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4. 고의성

  • 업무방해죄는 고의범으로, 행위자가 상대방의 업무를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한 실수나 과실로 타인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에는 업무방해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 고의성은 행위자의 언행, 행동의 반복성 등을 통해 추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쟁 업체의 영업을 방해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허위 사실을 유포한 경우 고의성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예시를 통한 설명

  •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 회사 직원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폭력적인 행동으로 비참여 직원들이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위협한 경우, 이는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허위 사실 유포에 의한 업무방해: 경쟁사가 허위 소문을 퍼뜨려 해당 업체의 신용을 떨어뜨리고 거래처를 잃게 만드는 경우, 이는 허위 사실 유포에 의한 업무방해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방해의 요건은 행위 유형, 업무의 정당성, 실질적 지장, 고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됩니다.

honey banksy art

SMALL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