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판결문과 다른 내용의 행정청의 기록이 거짓이 되는 상황

유용한 정보 모음/유용한 글모음

by 미카허니 2024. 10. 1. 10:34

본문

LIST

판결문과 행정청의 기록 내용이 다를 경우,

행정청이 허위기록을 작성했다고 단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는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 그 판단 기준과 상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허위기록의 정의

허위기록은 사실과 다르게 작성된 공식적인 문서나 기록으로, 고의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포함합니다. 행정청이 허위기록을 작성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 고의적 조작: 행정청이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기록한 경우.
  • 위조: 공식 문서에 대해 허위로 기재하거나 위조한 경우.

2. 행정청의 기록과 판결문 불일치 상황

행정청의 기록이 판결문의 내용과 다를 경우,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요소설명

행정청의 기록 작성 의도 행정청이 해당 기록을 작성한 의도가 무엇인지가 중요합니다. 고의적인 잘못이 없으면 허위기록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판결문의 법적 효력 판결문은 법원의 결정으로,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 하지만 행정청의 기록이 왜곡되었다면 법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기록의 출처와 신뢰성 행정청의 기록이 어떤 자료나 절차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기록이 신뢰할 수 있는 경우 허위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실적 오류 여부 행정청의 기록이 잘못된 정보에 기초한 경우, 사실적 오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의성이 없는 한 허위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행정청의 책임 여부 행정청이 어떤 절차를 거쳐 기록을 작성했는지에 따라 그 책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법적 제재 및 결과

  • 허위기록으로 판단되는 경우:
    • 고의적으로 잘못된 기록을 작성했다면 행정청은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는 행정소송법형법에 따라 위법 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사실적 오류로 판단되는 경우:
    • 단순히 사실적 오류로 인한 기록 불일치라면, 행정청은 법적 제재를 받지 않을 수 있으며, 수정 절차를 통해 올바른 정보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판결문과 행정청의 기록이 다르다고 해서 반드시 행정청이 허위기록을 작성한 것은 아닙니다. 고의성, 기록 작성 과정, 사실적 오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허위기록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행정청의 책임 여부는 사안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판결문의 내용과 다른 행정청의 기록이 있을 경우 문제되는 법조항과 구체적인 예시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문제되는 법조항

  1. 형법 제229조 (허위사실 적시죄)
    • 내용: 타인을 기망할 목적으로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거나, 사실을 왜곡하여 진술한 경우 처벌.
    • 적용: 행정청이 고의로 잘못된 정보를 기록한 경우.
  2. 형법 제225조 (위조죄)
    • 내용: 타인의 권리 또는 법률관계에 관한 문서를 위조하거나 행사한 경우 처벌.
    • 적용: 행정청이 의도적으로 허위의 기록을 작성한 경우.
  3. 행정절차법 제37조 (행정청의 기록 유지 의무)
    • 내용: 행정청은 사실에 기초하여 정확한 기록을 유지해야 하며, 필요시 정정해야 한다고 규정.
    • 적용: 행정청의 기록이 판결문과 다르며 이를 시정하지 않는 경우.
  4. 행정소송법 제4조 (법원의 권한)
    • 내용: 법원은 행정청의 결정이나 처분에 대한 적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 적용: 행정청의 기록이 판결문과 다를 경우, 법원에서 이를 근거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

구체적인 예시

상황구체적인 예시문제되는 법조항
고의적 조작 A 사건에서 행정청이 판결문에 명시된 사실을 알고도 "사건 무관"이라고 기록한 경우 형법 제229조 (허위사실 적시죄)
위조된 기록 제출 B가 판결문과 다르게 기록된 문서를 제출하여 "승인된 사건"으로 위조한 경우 형법 제225조 (위조죄)
기록 불일치 C가 행정청의 기록에서 "상해"로 기재했으나, 판결문에서는 "치료 불필요"로 명시된 경우 행정절차법 제37조 (정확한 기록 유지 의무)
시정 불이행 D가 행정청의 기록이 판결문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도 이를 정정하지 않은 경우 행정절차법 제37조 (행정청의 기록 유지 의무)
행정소송에서의 쟁점 E가 판결문에 따라 행정청의 결정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으나, 행정청이 다른 기록을 근거로 주장한 경우 행정소송법 제4조 (법원의 권한)
진술의 불일치 F가 판결문에서는 "만성질환"으로 기재되었으나, 행정청에서는 "일시적인 질병"으로 기록된 경우 형법 제229조 (허위사실 적시죄)
자료 누락 G가 행정청의 기록에서 필요한 서류(예: 의사 소견서)를 누락한 채 기록한 경우 행정절차법 제37조 (행정청의 기록 유지 의무)
부정확한 기록 H가 제출한 진단서가 판결문과 달리 "정신적 장애"로 기록된 경우 행정절차법 제37조 (행정청의 기록 유지 의무)
기록의 조작 I가 공식적으로 제출된 기록을 조작하여 "상해 없음"으로 기재한 경우 형법 제225조 (위조죄)
상충되는 사실 J 사건에서 판결문이 "기타 손해"라고 명시했으나, 행정청에서는 "직접 손해"라고 기록한 경우 형법 제229조 (허위사실 적시죄)

결론

판결문의 내용과 행정청의 기록이 다를 경우, 이는 행정청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고의적 조작, 위조, 기록 불일치 등 다양한 사례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법조항들이 있으며, 이를 통해 행정청의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각 상황은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사전자기록변작죄는 형법 제228조의2에 규정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 사전자기록의 변작: 전자기록의 내용이나 형식, 효력을 변경하는 행위.
  • 위계 또는 기망: 상대방을 속이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변작한 경우.

판결문과 행정청의 기록 불일치와의 연관성

판결문과 행정청의 기록이 다를 경우, 특정 상황에 따라 사전자기록변작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 고의적인 변작:
    • 행정청이 판결문의 내용을 알고도 기록을 변작하여 다르게 기재한 경우, 이는 사전자기록변작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예시: 판결문에서 "상해"로 기재되었는데, 행정청이 이를 "무사고"로 변경하여 기록한 경우.
  2. 전자기록의 조작:
    • 공식적인 전자기록(예: 전자문서 시스템)의 내용을 고의로 변경하여 제출한 경우.
    • 예시: 행정청이 특정 사건에 대한 전자기록을 조작하여 사실과 다르게 문서화한 경우.
  3. 법적 효력 왜곡:
    • 행정청의 기록이 다른 기록을 근거로 하여 판결문의 내용을 왜곡하는 경우, 이를 통해 사실을 은폐하거나 왜곡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법적 적용

  • 형법 제228조의2(사전자기록변작죄):
    • 제1항: 전자기록에 관하여 사기나 기타의 방법으로 기재된 내용을 변작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제2항: 변작된 전자기록이 그 효력이 발생하게 하려는 경우, 더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따라서 판결문과 행정청의 기록이 불일치하는 경우, 행정청이 고의적으로 내용을 변작했다면 사전자기록변작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판결문의 내용과 행정청의 기록이 다를 경우, 거짓이 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판결문의 법적 효력

  • 판결문: 법원에서 공식적으로 발행된 문서로,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 판결문에 기재된 내용은 사실로 간주되며, 법원에서 확정된 사항이므로 강력한 증거로 인정됩니다.
  • 행정청의 기록: 행정청이 작성한 기록은 법적 효력이 다를 수 있으며,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되어야 하지만, 가끔 오류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거짓의 판단 기준

  • 행정청의 기록이 거짓이 되는 경우:
    • 고의적 조작: 행정청이 의도적으로 판결문의 내용을 왜곡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기록한 경우, 이 기록은 거짓으로 간주됩니다.
    • 사실적 오류: 행정청이 잘못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록을 작성한 경우, 이는 거짓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의성이 없을 경우 법적 책임은 경감될 수 있습니다.
  • 판결문이 거짓이 되는 경우:
    • 판결문 자체가 잘못된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된 경우는 드물지만, 법원이 제출된 증거를 잘못 해석하거나 판단한 경우에 한정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3. 결론

결국, 판결문과 행정청의 기록이 다를 경우:

  • 행정청의 기록이 고의적으로 조작되었다면: 그 기록은 거짓이 됩니다.
  • 행정청의 기록이 사실적 오류로 작성되었다면: 이는 사실적 오류로 간주되며, 고의가 없는 경우에는 거짓으로 판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판결문은 일반적으로 진실로 간주됩니다: 판결문에 따라 모든 기록이 정정되어야 하며, 행정청은 이를 기준으로 기록을 수정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예시

  • 행정청 기록: "환자는 치료가 필요 없으며, 전혀 상해가 없다고 기록됨."
  • 판결문: "환자는 외상을 입었으며, 치료가 필요함."
    • 이 경우, 행정청의 기록이 판결문의 사실을 왜곡한 것이므로 거짓 기록이 됩니다.

이와 같이, 상황에 따라 거짓으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SMALL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