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고죄는 타인에게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 사실을 신고한 경우 성립합니다.
허위 진술의 핵심은 신고자가 진실이 아님을 알면서도 고소를 하거나
허위 가능성을 인식하고도 신고하는 경우입니다.
다음은 허위 진술의 구체적인 예시와 판례입니다.
무고죄는 다른 사람에게 허위로 범죄 사실을 주장하여 그 사람에게 형사적 책임을 지우려는 행위를 말합니다.
번호 무고죄의 예시 관련 판례 판례 요약
1 | 자신의 남편이 자신을 폭행했다고 허위로 신고 | 대법원 2007. 2. 22. 2006도11073 | 허위 폭행 신고로 인해 남편의 무고죄 인정 |
2 | 이웃이 자기를 성폭행했다고 허위로 주장 | 대법원 2010. 11. 11. 2010도10149 | 허위 성폭행 주장으로 이웃에게 형사처벌 시도 |
3 | 직장 동료가 자신을 괴롭혔다고 허위 진술 | 대법원 2014. 5. 15. 2014도2283 | 무고죄로 유죄 판결, 허위 주장으로 동료의 피해 발생 |
4 | 학교에서 자신이 성추행 당했다고 허위로 진술 | 대법원 2012. 9. 27. 2012도9242 | 허위 성추행 신고로 교사에게 형사처벌 부과 |
5 | 사기 사건에서 전 남편이 자신을 고소했다고 허위 주장 | 대법원 2011. 12. 15. 2011도13794 | 전 남편의 무고로 인정, 허위 신고로 형사처벌 |
6 | 부모가 자녀를 학대했다고 허위로 신고 | 대법원 2016. 5. 12. 2015도11658 | 허위 학대 신고로 부모에게 무고죄 적용 |
7 | 친구가 자기를 강제로 성관계했다고 주장 | 대법원 2013. 8. 22. 2012도12358 | 허위 주장으로 친구에게 무고죄 인정 |
8 | 부동산 거래에서 상대방이 사기를 당했다고 허위 신고 | 대법원 2019. 10. 3. 2018도16458 | 허위 사기 주장으로 상대방에게 형사처벌 |
9 | 채무자가 자신을 협박했다고 허위로 주장 | 대법원 2015. 3. 26. 2014도11370 | 협박의 허위 주장으로 무고죄 인정 |
10 |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하며 상습적인 폭행 주장 | 대법원 2018. 2. 15. 2017도1884 | 허위 폭행 주장으로 경찰에 대한 무고죄 적용 |
11 | 교사가 학생에게 성적 학대를 했다고 허위 주장 | 대법원 2021. 5. 20. 2020도12882 | 허위 성적 학대 주장으로 교사에게 무고죄 인정 |
12 | 의사가 진료 중 성폭행을 했다고 허위 신고 | 대법원 2020. 6. 4. 2019도5619 | 허위 성폭행 주장으로 의사에게 무고죄 적용 |
13 | 주차장 분쟁에서 상대방이 자신을 폭행했다고 주장 | 대법원 2017. 9. 14. 2016도14434 | 허위 폭행 주장으로 무고죄 인정 |
14 | 자신의 남편이 불법 촬영을 했다고 허위로 주장 | 대법원 2019. 1. 10. 2018도17157 | 허위 촬영 주장으로 남편에게 무고죄 적용 |
15 | 공무원이 자신의 친구를 청탁했다고 허위로 주장 | 대법원 2016. 11. 3. 2015도5634 | 허위 청탁 주장으로 친구에게 무고죄 인정 |
16 |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기 위해 허위 진술 | 대법원 2014. 12. 18. 2014도17030 | 허위 대출 신청으로 인한 무고죄 인정 |
17 | 기업이 계약을 맺기 위해 경쟁사를 고소했다고 주장 | 대법원 2018. 4. 12. 2017다42574 | 허위 고소로 인한 무고죄 적용 |
18 | 친구에게 범죄 사실을 허위로 주장 | 대법원 2020. 7. 30. 2019도16275 | 허위 범죄 사실 주장으로 친구에게 무고죄 인정 |
19 | 자신의 직장 상사가 성희롱을 했다고 허위로 주장 | 대법원 2017. 1. 26. 2016도5031 | 허위 성희롱 주장으로 상사에게 무고죄 인정 |
20 | 법원에 제출된 진술서에서 사실과 다른 내용을 기재 | 대법원 2022. 9. 22. 2021도2879 | 허위 진술로 인한 무고죄 적용 |
무고죄는 타인에게 부당한 법적 책임을 물리려는 행위를 엄격히 처벌합니다. 허위 진술을 통한 고소는 객관적 사실과 어긋날 경우 유죄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법원은 고소자가 허위성을 인지했는지와 악의적인 의도가 있었는지를 중점적으로 판단합니다【22】【2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