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직장에서 자신의 실수로 인해 발생 될 수 있는 피해와 범죄! 대처방법!

유용한 정보 모음/유용한 글모음

by 미카허니 2024. 9. 27. 11:39

본문

LIST

직장에서의 실수 및 착오로 인한 범죄를 피해와 함께 정리한 표입니다.

각 예시는 실수의 유형, 범죄의 설명, 피해 내용, 관련 법조항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직장에서 실수 및 착오로 인한 범죄 예시 30개

번호    실수/착오 유형      범죄 유형                       설명                                피해 내용                        관련   법조항
1 거래 실수 횡령 회사 자금을 실수로 잘못된 계좌로 송금 회사 자산 손실 형법 제356조 (업무상 횡령)
2 개인정보 유출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고객 정보 또는 직원 정보를 실수로 외부에 유출 고객 신뢰 상실, 법적 제재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개인정보의 제공)
3 중요 문서 파기 증거 인멸 중요한 회계 문서나 계약서를 실수로 폐기 법적 소송에서 불리한 입장 형법 제155조 (증거 인멸)
4 회계 착오 회계 부정 회계 처리 과정에서 실수로 매출이나 비용을 잘못 기록 재무 보고서 신뢰성 저하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4조 (회계 부정)
5 잘못된 약품 배급 과실치사/치상 병원 등에서 약품을 잘못 배급하여 환자에게 피해를 입힌 경우 환자 생명 및 건강 위협 형법 제268조 (업무상 과실치사상)
6 계약 내용 착오 계약 사기 계약 내용 중 일부 조건을 실수로 잘못 입력하여 상대방에게 피해를 줌 계약 상대방의 손해 형법 제347조 (사기)
7 자료 전송 실수 기밀 유출 기밀 문서나 보고서를 외부로 실수로 전송 기업 기밀 유출, 경쟁사 악용 가능성 산업기술보호법 제36조 (영업비밀 침해)
8 허위 보고 허위 진술 실수로 잘못된 정보를 상사나 고객에게 보고 잘못된 의사결정, 신뢰도 하락 형법 제152조 (허위 진술)
9 무단결재 업무방해 결재 권한이 없는 직원이 실수로 상사의 결재를 대신함 결재 절차 지연 형법 제314조 (업무방해)
10 계약 기한 착오 채무불이행 계약 기한을 실수로 잘못 기록하여 기한 내 이행하지 못함 계약 위반으로 인한 손해 민법 제387조 (채무불이행)
11 물품 관리 부주의 재물손괴 물품을 잘못 다뤄 회사 자산에 손해를 입힘 자산 손실 형법 제366조 (재물손괴)
12 고객 대응 실수 명예훼손 고객과의 대화에서 실수로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명예를 훼손함 고객의 신뢰 상실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
13 과도한 업무 지시 강요죄 실수로 업무량을 과도하게 지시해 직원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음 직원의 정신적 고통 형법 제324조 (강요)
14 직원 급여 지급 실수 임금 체불 급여를 실수로 잘못 계산해 적게 지급하거나 미지급 직원의 생계 어려움 근로기준법 제36조 (임금 지급)
15 안전 관리 소홀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안전 수칙을 실수로 준수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 직원의 안전 위협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안전조치 미이행)
16 공금 유용 공금 횡령 실수로 공금을 다른 용도로 사용 회사 재정 손실 형법 제356조 (업무상 횡령)
17 임시 저장 파일 유출 영업비밀 침해 업무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외부로 유출 기업의 경쟁력 약화 산업기술보호법 제36조 (영업비밀 침해)
18 수출입 신고 착오 관세법 위반 수출입 물품 신고 과정에서 실수로 잘못된 정보를 제출 법적 제재, 벌금 관세법 제270조 (허위 신고)
19 제품 결함 미보고 소비자 보호법 위반 제품의 결함을 실수로 미보고하여 소비자에게 피해를 입힘 소비자 피해 소비자기본법 제52조 (안전한 소비 생활 보장)
20 자산 처분 실수 배임죄 회사 자산을 잘못 처리하여 손해를 입힘 회사 자산 가치 하락 형법 제355조 (업무상 배임)
21 잘못된 인사 조치 차별 행위 실수로 직원의 승진이나 인사 평가에서 불공정한 조치를 취함 직원의 사기 저하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 (차별 금지)
22 허위 근무 시간 기록 근로기준법 위반 실수로 근무 시간을 잘못 기록하여 초과근무 수당을 잘못 지급 직원의 금전적 손실 근로기준법 제56조 (연장·야간 및 휴일근로)
23 세금 착오 신고 탈세 세금을 실수로 잘못 신고하여 탈세 혐의를 받음 법적 제재, 과태료 조세범처벌법 제3조 (탈세)
24 프로젝트 착오 계약 위반 프로젝트의 범위를 실수로 잘못 설정하여 계약 내용을 이행하지 못함 계약 상대방의 손해 민법 제389조 (계약 불이행)
25 보안 규정 위반 정보보호법 위반 회사의 보안 규정을 실수로 위반하여 정보 유출 기업 정보 유출, 법적 제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8조 (보안 조치)
26 부적절한 직장 내 발언 성희롱 실수로 부적절한 발언을 하여 직장 내 성희롱 혐의를 받음 직원의 정신적 피해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 (성희롱 금지)
27 환경 규제 위반 환경범죄 회사의 환경 관리 규정을 실수로 위반하여 환경 오염이 발생 지역 주민 건강 및 환경 피해 환경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별법 제8조 (환경 범죄)
28 고객 계약 조건 착오 계약 사기 고객 계약 조건을 실수로 잘못 기록하여 피해를 초래 계약 상대방의 손해 형법 제347조 (사기)
29 허위 경비 처리 사기 경비를 실수로 과다 청구하여 사기 혐의를 받음 회사 재정 손실 형법 제347조 (사기)
30 서류 처리 실수 문서 위조 계약서나 보고서를 실수로 잘못 작성하거나 위조하여 법적 문제가 발생 법적 책임, 신뢰도 하락 형법 제231조 (문서 위조)

이 표는 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실수 및 착오로 인한 범죄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각 범죄가 초래할 수 있는 피해 내용과 관련 법적 근거를 함께 제공합니다.

 

구제 방법 및 절차

번호       구제 방법                                설명                                      필요한 서류                             관련 법조항
1 민사 소송 피해를 입은 경우, 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 소장, 증거서류, 피해 내역서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
2 형사 고소 범죄가 발생한 경우, 경찰이나 검찰에 고소장을 제출. 고소장, 증거자료, 피해사실 진술서 형법 제156조 (고소권)
3 행정심판 행정기관의 처분에 대해 불복할 때 행정심판 청구. 행정심판 청구서, 증거서류 행정심판법 제9조 (행정심판 청구)
4 고용노동부 신고 근로기준법 위반 사례에 대해 고용노동부에 신고. 신고서, 증거자료 근로기준법 제119조 (신고)
5 국민권익위원회 신고 공공기관의 부당한 처사에 대해 신고. 신고서, 관련 증거자료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7조 (신고)
6 노동조합의 도움 요청 노동조합에 가입하여 단체협상이나 지원 요청. 조합원 가입서, 관련 자료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노동조합의 정의)
7 정신적 피해 보상 청구 정신적 피해에 대해 상담 및 치료 후 보상 청구. 치료 증명서, 피해 사실 증명서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
8 직장 내 고충처리 회사 내 고충처리위원회에 문제 제기. 고충처리 신청서, 관련 증거 산업안전보건법 제62조 (고충처리제도)
9 법률 상담 변호사나 법률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아 법적 조언 받기. 상담 신청서, 관련 서류 -
10 조정 및 중재 분쟁 발생 시 조정 또는 중재를 통해 해결. 조정신청서, 증거자료 민사조정법 제5조 (조정의 신청)

이 표는 직장에서 발생한 실수나 착오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우 취할 수 있는 다양한 구제 방법과 필요한 서류, 관련 법조항을 정리한 것입니다. 각 방법에 따라 절차를 따르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

기관명                                                      역할                                                            연락처                         웹사이트
고용노동부 근로기준법 위반 신고 및 상담 1350 고용노동부
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의 불공정 처사 신고 및 상담 1398 국민권익위원회
노동조합 근로자의 권리 보호 및 집단적 협상 지역별 노동조합 연락처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 권리 보호 및 피해 구제 상담 1392 한국소비자원
법률구조공단 저소득층을 위한 무료 법률 상담 및 소송 지원 1323 법률구조공단
민원상담센터 행정적 민원 상담 및 처리 1577-1345 각 시·도 청 및 구청
대검찰청 범죄 피해 신고 및 고소 상담 1301 대검찰청
경찰서 범죄 신고 및 피해자 지원 각 지역 경찰서 연락처 경찰청
정신건강 상담센터 정신적 피해 상담 및 치료 지원 1577-0199 정신건강 상담센터
여성긴급전화 성희롱 및 성폭력 피해 상담 및 지원 1566-2525 여성긴급전화

이 표는 직장에서의 실수 및 착오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기관들의 정보를 정리한 것입니다. 각 기관의 역할에 따라 적절한 상담이나 신고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회사 범죄의 종류

번호            범죄 종류                                               설명                                                                 관련 법령

1횡령회사 자금을 개인적으로 유용하는 행위.형법 제356조 (업무상 횡령)
2배임회사의 이익을 해치고 제3자에게 손해를 입히는 행위.형법 제355조 (업무상 배임)
3사기허위 사실을 진술하여 상대방을 속이고 이득을 취하는 행위.형법 제347조 (사기)
4정보 유출회사의 기밀정보나 영업비밀을 외부로 유출하는 행위.산업기술보호법 제36조 (영업비밀 침해)
5부정경쟁부정한 방법으로 경쟁우위를 점하거나 상업적 기회를 침해하는 행위.상법 제2조 (부정경쟁행위의 금지)
6근로기준법 위반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행위.근로기준법 제109조 (처벌 조항)
7조세 포탈세금을 고의로 누락하거나 허위로 신고하는 행위.조세범처벌법 제3조 (탈세)
8허위 공시상장기업의 재무정보나 경영정보를 허위로 공시하는 행위.자본시장법 제162조 (허위공시)
9공금 횡령회사의 공금을 개인 용도로 사용하거나 횡령하는 행위.형법 제356조 (업무상 횡령)
10담합경쟁사와 가격, 생산량 등의 조건을 사전 합의하는 행위.공정거래법 제19조 (담합 금지)
11조작회계 장부를 조작하여 재무상태를 왜곡하는 행위.상법 제174조 (회계장부의 조작)
12허위 경비 처리경비를 허위로 청구하여 회사 자산을 부당하게 취득하는 행위.형법 제347조 (사기)
13직장 내 성희롱성적 언어나 행동으로 직장 내에서 성적 불쾌감을 유발하는 행위.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 (성희롱 금지)
14환경법 위반환경 보호를 위한 법률을 위반하여 환경에 해를 끼치는 행위.환경법 제2조 (환경범죄의 처벌)
15고객 정보 유출고객의 개인정보를 유출하거나 무단으로 사용하는 행위.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개인정보 제공)
16사기성 계약의도적으로 고객이나 협력업체를 속여 계약을 체결하는 행위.형법 제347조 (사기)
17산업 안전 위반산업 안전 및 보건 규정을 위반하여 근로자에게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안전조치 미이행)
18불법 하도급허가 없이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거나 불법적으로 하도급을 주는 행위.하도급법 제3조 (불법 하도급 금지)
19근로자 차별성별, 연령, 인종 등을 이유로 차별하는 행위.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 (차별 금지)
20부정직한 고용 관행부당한 이유로 직원을 해고하거나 근로조건을 저하시킨 경우.근로기준법 제23조 (해고의 정당성)
21뇌물 수수회사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뇌물을 제공하거나 받는 행위.형법 제130조 (뇌물죄)
22자격증 위조허위의 자격증을 발급받아 사용하는 행위.형법 제231조 (위조 및 변조)
23전표 조작재무 관련 문서나 전표를 조작하는 행위.상법 제174조 (회계장부의 조작)
24상표권 침해타인의 상표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행위.상표법 제92조 (상표권 침해)
25주가 조작주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거래를 유도하는 행위.자본시장법 제178조 (주가조작 금지)
26근로자 건강 방치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할 의무를 소홀히 하는 행위.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안전조치 미이행)
27계약 위반계약의 조항을 위반하거나 불이행하는 행위.민법 제536조 (계약 불이행)
28영업 비밀 침해회사의 영업 비밀을 부당하게 취득하거나 사용하는 행위.산업기술보호법 제10조 (영업비밀 침해)
29직원 불법 감시직원의 개인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거나 감시하는 행위.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개인정보 보호의 원칙)
30거짓 진술회사의 실적이나 상황에 대해 거짓으로 진술하는 행위.자본시장법 제162조 (허위공시)
31근로자 폭력직장에서 근로자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행위.근로기준법 제76조 (폭력 금지)
32직장 내 괴롭힘업무와 관련 없는 괴롭힘을 당하는 행위.근로기준법 제76조 (직장 내 괴롭힘 금지)
33경쟁업체 침해경쟁업체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훼손하는 행위.공정거래법 제19조 (부당한 경쟁행위 금지)
34부당 해고정당한 이유 없이 직원을 해고하는 행위.근로기준법 제23조 (해고의 정당성)
35가짜 직원 등록존재하지 않는 직원을 등록하여 급여를 수령하는 행위.형법 제347조 (사기)
36연차휴가 미부여법정 연차휴가를 부여하지 않는 행위.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휴가)
37보험 사기보험금을 부당하게 수령하는 행위.형법 제348조 (보험사기)
38정치적 중립 위반정치적 압력을 통해 의사결정을 왜곡하는 행위.공직선거법 제47조 (정치적 중립 의무)
39성범죄직장 내에서 성적 범죄를 저지르는 행위.형법 제297조 (강간죄)
40사내자산 유용회사의 자산을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행위.형법 제356조 (업무상 횡령)
41무단 이직계약 기간 중 무단으로 이직하는 행위.민법 제535조 (채무불이행)
42가짜 세금 신고세금을 조작하여 신고하는 행위.조세범처벌법 제3조 (탈세)
43장기무단결근정당한 사유 없이 장기간 결근하는 행위.근로기준법 제46조 (무단 결근)
44소프트웨어 불법 복제회사의 소프트웨어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배포하는 행위.저작권법 제136조 (저작권 침해)
45직원 임금 미지급직원에게 법정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행위.근로기준법 제43조 (임금 지급 의무)
46무면허 운영필요한 면허 없이 사업을 운영하는 행위.산업안전보건법 제6조 (사업 면허)
47투자자 사기투자자를 속여 자금을 모집하는 행위.형법 제347조 (사기)
48불법 광고규제를 위반하여 불법적으로 광고하는 행위.광고법 제8조 (허위 광고 금지)
49정보통신망 침해해킹 등을 통해 회사의 정보통신망을 침해하는 행위.정보통신망법 제48조 (침해행위 금지)
50고의적 데이터 삭제회사의 중요 데이터를 고의로 삭제하는 행위.형법 제310조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법 위반)

이 표는 회사 범죄의 다양한 종류를 설명과 함께 정리한 것입니다. 각 범죄는 기업의 신뢰성, 법적 책임 및 사회적 이미지를 크게 해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회사 범죄 발견 시 신고하는 곳과 방법

번호                             신고처                                            연락처                                               신고 방법

1경찰청112전화 또는 직접 방문
2검찰청각 지역 검찰청전화 또는 직접 방문
3공정거래위원회1398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4금융감독원1332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5고용노동부1350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6한국소비자원1372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7국세청126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8환경부1355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9산업안전보건공단1588-119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10여성긴급전화1366전화 또는 직접 방문
11노동자 권리 보호센터1566-0070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12세무서각 지역 세무서전화 또는 직접 방문
13사이버 수사대1820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14민원상담센터각 지방자치단체전화 또는 직접 방문
15한국노동조합총연맹02-2670-8551전화 또는 온라인 신고

신고 방법 설명

  • 전화 신고: 각 기관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즉각적인 신고가 가능합니다. 긴급한 상황에서는 112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직접 방문: 가까운 경찰서, 검찰청 또는 관련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고: 여러 기관은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각 기관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신고 양식을 작성하면 됩니다.
  • 문서 신고: 필요한 경우 신고 내용을 문서로 작성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범죄를 발견했을 경우, 신속하게 신고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honey banksy art

SMALL

관련글 더보기